본문 바로가기

Python/Coursera_Python for Everybody

Programming for Everybody (Getting Started with Python) 6강

오늘 수업은 '함수'
짧지만 역대급으로 유익했던 수업.
몇번을 반복해서 들었던지...

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같은 코드를 반복해야 할 일이 많다.
그 경우 유용한 것이 바로 함수를 만들어놓고 계속 사용하는 것.

자 그럼 시작.


함수란?

식을 1) 저장(Store)해놓고 2) 반복사용(Reuse)하는 것.
파이썬 내장함수 / 사용자 정의함수로 나뉜다.

 

 

 

**함수 정의(Def) -> 저장(STORE) only. 프로그램은 함수 내부의 코드 실행않고 일단 Skip 

**함수 호출(CALL/INVOKE) -> 사용. PAUSE -> RUN -> RESUME 

프로그램을 잠시 멈추고/ 함수 저장된 곳으로 가 내부 코드 실행 후 /결과값 갖고 다시 프로그램으로 돌아온다. 


**새로운 인싸이트: 함수는 일종의 코드가 포함된 '변수'.
변수처럼 이름을 붙여(label) 메모리의 일부에 저장(store)된다.

 

내장 함수의 경우, 사용자의 함수 호출시 pause -> run -> resume

 

함수는 호출하지 않으면 절대 내부 코드를 실행하지 않는다. 어떤 결과도 나오지 않는다. (내부 메모리에만 저장될뿐)

 

함수를 저장했으면 꼭 호출해서 사용하자!! 


함수의 구성요소

Parameter(매개변수) / Arguments(전달인자) / Return

**Parameter: 함수의 정의부분에 나열되어 있는 변수. (변수와 달리 메모리 차지 X)

** Arguments: 위 변수에 집어넣는 값. 함수를 사용할때 전달되는 실제 값