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 수업은 조건문
실제 코딩할 때 제일 머리아프고 짜증나는게 조건문 ㅂㄷㅂㄷ
사실 뭔지 잘 모르고 일단 코딩을 한게 문제였다.
오늘 수업으로 조건문의 로직에 대해 잘 알 수 있었다.
이 수업은 컴퓨터의 생각흐름을 알 수 있어서 좋다.
또한 코드 읽는 훈련 및 팁을 알려줘서 좋다.
기초부터 차근차근 쌓아가는 기분.
자 그럼 시작.
조건문에서 사용하는 비교기호들.
R과 = 빼고는 거의 유사하다.
***새롭게 알게 된 사실: 비교 기호들은 할당기호(=) 또는 연산기호들과 달리 변수의 값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!
조건문의 구분.
One Way(if만 규정) / Two way(if/else, if/elif) / Multi way(if/elif/elif....)
**조건문부분을 블록화하는 연습을 하자!
**조건문 전체가 하나의 블록이며, else가 있는 경우, 여러 문장 중 하나 실행시 블록에서 탈출한다.
**맨 마지막에 else가 없는 경우, 하나라도 실행 안될수도 있다.
**조건문 안에 조건문이 있을 수 있다(Nested)
조건문을 보면 무조건 블록을 그리자!!
그리는 범위? [ if/for : + indent ~~~~~~~~~ deindent ]
조건문 안 조건문 Nested !!
항상 코딩하면서 elif 랑 else 구분을 못했는데 이제 확실히 알게됐다.
모든 경우의 수가 조건문의 문장에 포함되어 실행되어야 할 경우에는 else를 써준다.
이 경우 변수는 어떤 값이더라도 조건에 해당되므로, 조건문은 실행되게 된다.
Try / Except 문
처음 들어본 구문.... 유용해보이니 꼭 챙겨가야지
파이썬은 프로그램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한줄씩 실행한다.
그러던 중 한줄이 에러나면,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Traceback이라는 에러를 도출한다.
이 경우 에러가 난 줄 밑의 코드들은 실행조차 못되어 보고 그냥 개무시된다.
프로그래머의 입장에선 피땀흘려 만든 프로그램과 코드들을 어떻게든 끝까지 실행시켜보고 싶을 것이다.
이때 쓰는 것이 바로 Try/Except문.
에러가 날 것으로 의심되는(프로그래머는 안다.... 불안불안한 너낌...) 코드를 Try: 안에다 넣는다.
정상적으로 실행된다면 그대로 가고, 혹시 에러가 날 경우에 대비해 Except: 안에다 보험을 들어둔다.
이렇게 되면 에러가 나더라도 프로그램중단 + Traceback 출력 대신, except문을 실행해 계속 프로그램을 진행한다.
이렇게 유용한 Try/Except이다보니
많은 사람들이 Try안에 지나치게 많은 문장들을 집어넣는 오류를 범한다.
사람들이 간과하는 건, Try문은 하나라도 에러가 나면 바로 Try:를 탈출해 Except를 실행시킨다는 것이다.
이렇게 되면 Try:에 남은 문장들은 빛도 못본채....무시된다....
따라서 Try속에는 정말정말 의심되는 최소의 문장만 넣도록 하자!
'Python > Coursera_Python for Everybo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ogramming for Everybody (Getting Started with Python) 7-1 강 (0) | 2021.05.24 |
---|---|
Programming for Everybody (Getting Started with Python) 6강 (0) | 2021.05.24 |
Programming for Everybody (Getting Started with Python) 4강 (0) | 2021.05.19 |
Programming for Everybody (Getting Started with Python) 2, 3강 (0) | 2021.05.19 |
Programming for Everybody (Getting Started with Python) 1강 (0) | 2021.05.19 |